경제는 심리인데..文정부 출범 이전 수준 악화됐다
'투잡, 해야죠'..365일 일 내 몰리는 대한민국
‘저녁 있는 삶’이란 남의 나라 얘기”라고 말했다.
올 들어 영세자영업자나 임시·일용직 등 한계 취업자 중심으로 생계형 투잡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경기가 급속히 냉각되면서 줄어든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24시간, 365일 근로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이달부터 근로시간단축제가 본격화되면 저소득 계층외에 잔업이나 특근 등을 통해 부가적인 소득을 올렸던 정규직 일부 근로자들도 투 잡 대열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을 지향하는 정책목표와 노동현장과의 괴리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저임금이 실질적으로 역대 최고치인 16.4% 인상된 올해 저소득계층(소득 하위 20%기준)의 소득은 1분기(1∼3월)현재 전년동기 대비 8% 감소했다. 월평균 20만∼30만개씩 늘던 일자리는
지난 2월 이후 10만개대로 줄더니 5월에는 7만200개로 뚝 떨어진 상황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근로시간단축과 같은 정책들이 소득과 고용을 늘리기는커녕 오히려 한계계층의 삶을 더욱 어렵게 한다”며 “이들에게 ‘저녁 있는 삶’이란 남의 나라 얘기”라고 말했다.
출처 : 통도사 비로암
글쓴이 : 智 月 원글보기
메모 :
'사람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엄령 검토' 당시 조현천 기무사령관, 작년말 출국·美에 체류 중 (0) | 2018.07.10 |
---|---|
"기무사, 촛불집회 당시 탱크·특전사 투입 계획.." (0) | 2018.07.06 |
대통령 화환 놓인 '추미애 딸 결혼식'.. (0) | 2018.07.01 |
제발 여당 정치인들아...아직 구태를 벗어나지 못 했구나 (0) | 2018.06.28 |
[스크랩] 태극전사 깨운 손흥민의 한마디 (0) | 2018.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