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헬리코박터균 진단을 위한 요소호기검사 [영상으로 보는 검사]

동자승12 2016. 5. 10. 12:44

 

 

게시일: 2016. 4. 26.

우리는 매일 많은 음식을 먹으며세균, 곰팡이, 유해물질도 함께 섭취합니다.

이런 나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위에서는 pH 1.2~2.0정도의 강한 산성 위액을 분비하여위 내부 환경을 청결히 유지하는데요.

강한 산성 때문에 과거엔위 속에 그 어떤 생명체도 살지 못할 거라 생각했죠.

그런데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과학자, 배리 마셜과 로빈 워렌이위에서 사는 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발견했습니다.

당시 학계에선 위장 질환의 원인을 세균이 아닌 위산으로 봤기 때문에세균을 발견했다는 것을 믿지 않았는데요.

그래서 마셜 박사는균을 배양한 시험관을 통째로 마셔 위궤양을 만들고, 항생제로 치유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러한 노력 끝에 배리 마셜로빈 워런2005년 노벨 생리학상과 노벨 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렇게 발견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은헬리코(Helico), 나선형이라는 뜻에박터(Bacter), 세균이라는 단어가 붙여진 이름으로,전 세계 인구의 2/3가 감염돼 있을 만큼,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 감염돼 있는 균입니다.

이 균에 한번 감염되면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고, 일생 동안 감염이 지속되어,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을 일으킵니다.

그럼, 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은과연 어떻게, 강산성인 위 속에 살 수 있는 걸까요?그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유레아제라는 요소분해 효소를 분비하기 때문인데요.이 효소가 위 점액에 있는 요소를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데,

이때 생긴 암모니아가 위산을 부분적으로 중화시켜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이 위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그리고 이 암모니아가 위를 강하게 자극해 염증 및 궤양 등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그럼, 이 균이 내 몸 속에 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바로 요소호기검사를 통해 아주 쉽고 빠르게 검사가 가능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이요소를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 성질을 이용한 검사법인데요.우선 검사 4시간 전부터 금식한 후,숨을 한번 내쉬어 날숨을 채취합니다.그리고 미량의 방사성 탄소가 결합된 요소 용액을 복용하고,곧바로 구강 세척을 한 뒤, 30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한번 숨을 내쉬어 날숨을 채취하는데요.

만약 이때 날숨의 이산화탄소에 방사성 탄소가 포함되어 있으면,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감염되었다는 걸 뜻합니다.

이 균에 감염된 동시에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까지 있는 사람은바로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일주일에서 보름 정도만 약을 복용해도균의 70-80%가 없어지는데,약물치료 4주 뒤엔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이 모두 박멸됐는지 다시 한번 요소호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한 그릇의 음식을 여럿이 함께 먹는 식습관이나어른이 아이들에게 음식을 씹어서 주는 문화 때문에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노출에 더욱 취약한데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감염되면일반인보다 위암 발생확률이 3~6배 높다고 하니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고,평소 위생적인 식습관을 갖는 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