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 3분기 정제마진 강세로 정유업계가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사진은 에쓰오일 콤플렉스 공장 전경. 사진=에쓰오일 제공. |
[매일일보 변효선 기자] 정유업계의 계절적 비수기인 7·8월에 정제마진이 강세를 보이면서 올 3분기 정유업체들의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26일 업계 등에 따르면 정제마진은 석유제품 판매 값에서 원료비(원유 가격)를 뺀 것으로, 정유사 업계 실적의 바로미터다.
보통 석유제품 비수기인 3분기에는 정제마진이 약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올해에는 지난 8월 정제마진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정제마진은 지난 7월부터 상승, 지난 달 말에는 배럴 당 10달러를 돌파했다. 통상 정유업계 손익분기점(BEP)이 배럴 당 4~5달러 수준임을 고려했을 때, 두 배 수준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공급 부족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정제 마진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수요에 비해 정제설비 증가가 크지 않았던 것. 실제로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글로벌 원유수요는 올해 일일생산량 150만배럴, 내년 140만배럴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정제설비 증가분은 2020년까지 연간 76만배럴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허리케인으로 인한 정제시설 가동 중단과 인도 경질 경유 수입확대 등도 정제 마진 상승의 원인으로 꼽혔다. 지난 달 말 열대성 폭풍 ‘하비’의 영향으로 미국 멕시코만 지역 일부 정제시설들은 가동을 중단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당시 멕시코만 지역 정제시설 가동 중단·축소 규모는 미국 전체 정제능력의 24%에 달한다.
이에 따라 국내 정유업계의 실적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SK이노베이션[096770]과 에쓰오일[010950]이 큰 폭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는 각각 고도화설비 일부 가동중단, 정제설비 정기보수로 수혜의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비수기에 초강세를 보인 정제마진에 힘입어 에쓰오일의 영업이익은 352% 급증한 524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며 “같은 기간 SK이노베이션은 155% 증가한 1조563억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27일 정유업종에 대해 3·4분기 실적 개선이 전망되는 가운데 2018년에도 증익이
예상된다며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제시했다.
메리츠종금증권에 따르면 3·4분기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은 1조원, S-Oil은
5841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메리츠종금증권 노우호 연구원은 "수요에 기반한 정제마진 개선, 유가 상승, 화학 스프레드
반등에 기인한 것"이라면서 "3·4분기가 석유제품의 비수기임에 불구 9월 현재 복합정제마진은 배럴당 8달러로 2014년 이후 고점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7월 디젤 마진(배럴당 13달러) 반등과 8~9 월 미국 태풍 영향으로 정제설비 가동률 하락(현재 가동률 83%)으로 정제마진은
배럴당 9.5달러까지 상승했다.
유가는 주요 산유국의 순조로운 감산 이행에 따라 두바이유의 경우 배럴당 54달러까지 올랐다.
3·4분기 재고평가 이익은 SK이노베이션 576억원, S-Oil 869억원으로 추정됐다.
11월 경제협력개발기구(OPEC)
정례회의 개최 전까지 유효한 감산 스케줄과 원유 수급을 감안하면 유가는 연말 배럴당 6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화학은 상반기
재고조정 기간이 종료된 6월을 기점으로 반등했다.
주요 제품 가격회복에 따라 화학부문 이익은 SK이노베이션이 전기대비 13%
S-Oil은 전기대비 9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메리츠종금증권은 2018년에도 정유기업 실적은 증익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했다.
수급에
근거한 펀더멘털 강화로 정제마진의 추가 상승이 다분하다는 것이다. 경기 회복으로 수요 전망치는 연간 하루평균 150만배럴 이상으로 상향 조정된
반면, 정제설비 신증설은 이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2019년까지 연간 하루평균 80만배럴 규모 증설은 연간 일평균 150만배럴 증가하는
수요 충당에 부족한 규모로 마진 개선이 다분하다고 내다봤다.
노 연구원은 "글로벌 석유제품 재고 수준과 제한된 신증설을 감안 시 정제마진
강세는 2020년까지도 지속될 것"이라면서 "2018년 정제마진은 배럴당 9.7달러로 예상하고 화학업황 강세까지 전망돼 2018년 연간 이익은
SK이노베이션은 전년대비 4% 증가한 3조5000억원, S-Oil은 전년대비 43% 늘어난 2조1000억원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재테크 (財tech)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당투자 유망종목 TOP 10 (0) | 2017.11.09 |
---|---|
[스크랩] 코스피 단숨에 33p `점프`…나흘째 사상최고 종합지수 2,556.47 (0) | 2017.11.01 |
[스크랩] 에쓰오일, 신규설비 가동 후 기존 추정 수익 연간 8000억…`최상의 경우` 가정하면 1.4조원 (0) | 2017.08.31 |
국제유가 어디로?…허리케인 '하비' 변수 등장 (0) | 2017.08.30 |
[스크랩] 美 휘발유 선물 6%↑..허리케인 `하비`로 정유 100만배럴↓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