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물고 싶었던 순간(추억)들

[스크랩]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

동자승12 2015. 12. 13. 22:14


삼양라면은  

당시 한국인들에게 가장 부족했던 단백질 보충을 위해 소고기를 원료로 한 스프로 국물을 만들고 꼬들고들한 면을 만들기 위해 일본에서 쓰던 식물성 저가 팜유가 아닌 값 비싼 소우지로 면을 튀겼습니다. 

 

 당시 식물성 팜유를 쓰던 일본조차 원가상승 때문에 시도하지 못했던 이 우지는

미국 패스트푸드점이나 식당에서 사용하던 고급 기름입니다.

 

물론 가정용이나 고급 식당에서 팔리던 1 등급 우지보다는 낮은 등급이었지만

그건 소고기의 등급에 따른 문제였습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게 삼양라면 입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라면이지요.

 

삼양라면은 허기진 서민들,

배고픈 어린이들

힘든 노동자 의 배를 든든하게 채워줬습니다.

심지어 해외 수출되어 외국의 배고픈 문제와 국가 경제에 매우 큰기여를 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조차 삼양식품의 인간 존중 경영책을 보고 배웠다는 일화가 있다. 

 

 박정희씨가 유일하게 믿고 세무조사를 하지 않았던 기업은

유한양행과 삼양라면 뿐이었습니다.



 

지금도 그런 인간중심의 인사정책은 아직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국민영양을 위해 고가 원료인 소고기 재료만 고수하였고

서민들 주머니 사정 때문에 너무나 저가에 팔았기 때문에 삼양라면은 5년간 적자를 면치 못했습니다.

 

하지만 절대 가격을 올리지 않았고 당시 라면 한그릇은 10원 이였던 점 

 

삼양의 재정이 5년 후 흑자로 돌아서고 시장이 커지자

롯데(농심), 럭키(엘지)가 라면사업에 뛰어들었지만

가격과 품질면에서 게임이 되지 않았습니다.

  

삼양과 동등한 원료로 같은 가격의 라면을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고

그러면서도 흑자를 보는 것은 기적에 가까웠습니다.

 삼양은 이윤이 아닌 서민의 배고픔 해결을 1 순위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삼양식품의 저가 가격에 다들 가격도 못올려보고 적자로 허덕이다 망한 이유가 그것때문입니다. 

식물성 저가 팜유를 써서 근근히 연명하던 타 라면사들의 면발은 맛도 없고 꼬들꼬들한 느낌도 없었습니다.




삼양라면은 그렇게 이나라의 대표 인스턴트 식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시간은 그렇게 흘러 80년대말이되서

 

라면에도 다양성과 고급화를 바라는 소리가 나오고..

빙그레, 야쿠르드, 오뚜기까지 라면 사업에 뒤늦게 합류했습니다.


 

시장이 다양해지고 배고픔마저 잊은 국민들은 이제 서서히 순하고 담백한 맛의 삼양 라면의 맛에

싫증내기 시작했고 화학조미료인 MSG를 넣어 매운맛 짠맛 단맛만 자극적으로 강조한 라면에

삼양라면이 밀리게 되었고 시장 점유율 40퍼센트까지 내려앉았습니다.

 

삼양라면은 노태우대통령시절 최악의 사건에 휘말리게 됩니다.

20년간 써운 2등급 소고기 우지가 보건사회부에 의해 검찰에 고발된것입니다.

공업용 우지는 미국 고급식당이나 가정 패스트푸드점에서 사용하는 2등급 고가 우지였습니다.

 



 

 

그러나 모든 언론사들은 이것을 마치 폐기물로 쓰는 쓰레기 오일로 보도하였고

결국 라면 시장 대부분을 차치하던 삼양라면은 이사건 직후 5퍼센트까지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80년대 당시 4000여억원의 손실을 입게 되었습니다.

 

거기다가 직원 80%이상이 실직하게 되었고

160만 박스의 라면을 폐기처분하였습니다.

 

결국 라면시장은 롯데 농심에게 전부 넘어가게 됩니다.

마가린과 쇼트닝 회사마저 롯데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그로부터 5년후 식용우지가 고급기름이고 미국가정에서도 쓰이기 때문에 무해하다는

법원판결이 나왔지만...

 

벌써 삼양라면은 많은 타격으로 회사가 너무 힘들어지게 되고

언론에서는 그런 삼양라면을 신경도 안쓰게 됩니다.

 

삼양라면을 망가트트릴때에는 1면에 선정성기사를 마구마구 실었지만

무혐의가 드러났을때는 보도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지금현재까지 제가 알기로는 MSG를 안넣는 라면이고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으로 현재까지 양심을 안속이는 기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회사들이 계속 우리나라에서 성장했으면 합니다.

 

참조

이 기사와 사진은 


 에서 네이브 블로그에 올린것을 발췌 하였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 합니다


출처 : 통도사 비로암
글쓴이 : 智 月 원글보기
메모 :